트럼프-푸틴, 30일간 에너지·인프라 휴전 합의...‘서방의 우크라 지원 중단’ 변수

2025-03-19     이슈밸리

 


[이슈밸리=임정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현지 시각) 전화 통화를 갖고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30일간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 공격을 중단하는 휴전안에 합의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이 서방의 대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을 요구하고 있어 향후 합의안이 유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오늘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나눈 전화 통화는 매우 좋고 생산적이었다”면서 “우리는 모든 에너지와 인프라에 대한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고, 완전한 휴전을 위해 신속하게 노력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이 끔찍한 전쟁을 종식시킬 것이라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수천 명의 군인이 사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포함해 평화 협정의 많은 요소에 대해 논의했으며,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두 전쟁이 끝나기를 원했다”면서 “그 과정은 이제 완전히 효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우리는 인류를 위해 그 일을 완수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러시아 크렘린궁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30일간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서로 중단할 것을 제안했고, 푸틴 대통령이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즉시 군에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애초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한 '30일 전면 휴전'을 거부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수정 제안'은 수용했다고 크렘린궁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보도자료에서 두 정상이 에너지 및 인프라 분야 휴전에 합의하는 한편,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 러시아측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언급한 반면에 미국은 '에너지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밝혀 휴전 대상에서 차이를 드러내기도 했다.

다시말해 러시아는 정유시설과 송유관 등 러시아에 유리한 에너지와 관련된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을 언급했고, 미국은 모든 인프라 시설도 휴전 대상에 포함된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문제는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때 서방의 대(對)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을 요구하고 있어 향후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이것을 수용할지가 변수란 분석이다.

이와 관련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에너지 및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자는 제안을 찬성한다"고 밝힌 뒤 "러시아가 (미·러의 휴전 제안을) 지킨다면 우리도 그럴 것"이라며 "미국은 보증인이 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러 정상 간 전화통화 내용에 관한 세부 사항을 듣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하기를 원한다면서 "세부 사항을 받은 뒤 우리는 우리의 답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